1초 만에 윈도우11 바탕화면으로 순간이동하는 쉽고 빠른 비밀 기술 대공개!
목차
- 바탕화면 바로가기의 중요성과 윈도우11의 변화
- 가장 빠르고 쉬운 기본 단축키 사용법: $\text{Win} + \text{D}$
- 마우스 이용 초스피드 접근 방법: 화면 우측 하단 클릭
- 작업 표시줄 설정 변경을 통한 바로가기 버튼 활성화
-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으로 원하는 프로그램 즉시 실행
- 바탕화면 표시 아이콘 생성 및 활용법
바탕화면 바로가기의 중요성과 윈도우11의 변화
윈도우 11은 이전 버전인 윈도우 10에 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디자인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중앙으로 이동한 시작 메뉴와 둥근 모서리 디자인 등 시각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었죠. 하지만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다 보면 수많은 프로그램 창이 바탕화면을 가득 덮어버리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럴 때마다 일일이 창을 최소화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작업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윈도우 11 환경에서도 바탕화면으로 쉽고 빠르게 전환하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은 효율적인 컴퓨터 사용의 기본이자 필수입니다. 특히 윈도우 11은 윈도우 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탕화면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므로, 기존 사용자들도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창을 단숨에 정리하고 바탕화면의 파일이나 폴더에 즉시 접근할 수 있는 쉽고 빠른 방법을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빠르고 쉬운 기본 단축키 사용법: $\text{Win} + \text{D}$
수많은 바로가기 방법 중 단연코 가장 빠르고 쉬운 것은 바로 키보드 단축키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이 단축키는 윈도우 11에서도 변함없이 강력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사용 방법:
키보드의 $\text{Windows}$ 로고 키 ($\text{Win}$)를 누른 상태에서 알파벳 $\text{D}$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기능 설명:
이 단축키는 현재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즉시 '최소화'하여 바탕화면을 표시해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창을 닫는 것이 아니라 최소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단축키를 한 번 더 누르면 최소화되었던 모든 창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는 것입니다. 즉, 바탕화면 확인 후 다시 작업 화면으로 돌아갈 때도 이 단축키 하나면 충분합니다. 양손이 키보드 위에 있는 상황이라면 마우스를 움직이는 시간조차 아낄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마우스 이용 초스피드 접근 방법: 화면 우측 하단 클릭
키보드 사용이 익숙하지 않거나 마우스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마우스로 바탕화면을 빠르게 표시하는 방법이 유용합니다. 윈도우 11의 작업 표시줄에는 '바탕화면 보기' 영역이 숨겨져 있습니다.
사용 방법:
모니터 화면의 가장 오른쪽 하단 모서리, 시계와 알림 아이콘 영역을 지나 작업 표시줄의 '끝 부분'을 클릭합니다. 이 영역은 시각적으로는 표시되지 않지만,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클릭 가능한 작은 영역이 존재합니다.
기능 설명:
이 작은 영역을 한 번 클릭하면 $\text{Win} + \text{D}$ 단축키와 마찬가지로 열려 있는 모든 창이 최소화되고 바탕화면이 나타납니다. 다시 클릭하면 창들이 원래대로 복원됩니다. 윈도우 11에서는 이 영역이 윈도우 10보다 조금 더 미묘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정확히 모서리 끝을 클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영역은 $\text{Peek}$ 기능이라고도 불리며, 클릭 대신 마우스 커서를 잠시 올려두는 것만으로도 바탕화면을 미리 볼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 설정에서는 클릭해야만 작동합니다.)
작업 표시줄 설정 변경을 통한 바로가기 버튼 활성화
기본적으로 작업 표시줄 우측 끝에 숨겨져 있는 '바탕화면 보기' 기능을 좀 더 명확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설정 변경을 통해 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11의 작업 표시줄 설정에서 '바탕화면 보기' 버튼을 사용하도록 지정하면 됩니다.
설정 방법:
- 시작 메뉴 $\to$ 설정 (또는 $\text{Win} + \text{I}$ 단축키 사용)을 엽니다.
- 좌측 메뉴에서 개인 설정을 선택합니다.
- 오른쪽 항목에서 작업 표시줄을 클릭합니다.
- 작업 표시줄 설정 항목 중 작업 표시줄 동작을 클릭하여 확장합니다.
- 작업 표시줄 모서리를 클릭하여 바탕 화면을 표시 옵션을 켬으로 설정합니다.
활용 효과:
이 설정을 활성화하면 우측 하단 모서리 영역이 더욱 명확하게 작동하게 되며, 클릭했을 때 바탕화면으로의 전환이 더욱 확실해집니다. 이 설정은 대부분의 윈도우 11 설치 시 기본으로 켜져 있지만, 만약 작동하지 않는다면 이 설정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으로 원하는 프로그램 즉시 실행
바탕화면으로 이동하는 것 외에, 특정 프로그램을 바탕화면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것도 생산성을 높이는 좋은 방법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어 두면 시작 메뉴나 검색을 거칠 필요 없이 바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생성 방법:
- 시작 메뉴를 열거나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 해당 프로그램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to$ 파일 위치 열기를 선택합니다. (이 옵션이 없는 경우, 프로그램을 찾은 후 다음 단계를 진행합니다.)
- 프로그램 실행 파일(또는 바로가기 파일)을 찾습니다.
- 해당 파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to$ 자세히 $\to$ 파일 위치 열기를 다시 선택합니다. (이 방법은 파일 위치를 찾는 가장 확실한 경로입니다.)
- 실제 실행 파일($\text{.exe}$) 또는 이미 만들어진 바로가기 파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to$ 보내기 $\to$ 바탕 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활용 효과:
바탕화면에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을 즉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에 고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바탕화면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그룹 지어 놓으면 시각적으로 관리하기 편리합니다.
바탕화면 표시 아이콘 생성 및 활용법
앞서 설명한 $\text{Win} + \text{D}$ 단축키의 기능을 마우스 클릭만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키보드 단축키를 외우기 어렵거나 작업 표시줄 우측 하단 영역을 찾기 어려운 사용자에게 유용합니다.
아이콘 생성 방법:
- 바탕화면의 빈 공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to$ 새로 만들기 $\to$ 바로 가기를 선택합니다.
- 바로 가기 만들기 마법사 창이 나타나면 항목 위치 입력란에 다음 코드를 정확히 입력합니다.
- $$\text{explorer shell:::{3080F90D-D7AD-11D9-BD98-0000947B0257}}$$
- 다음을 클릭합니다.
- 바로 가기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바탕화면 바로가기 또는 바탕화면 표시
- 마침을 클릭하여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을 완료합니다.
아이콘 활용 및 디자인 변경:
생성된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열려 있는 모든 창이 최소화되고 바탕화면이 표시됩니다. 이 아이콘을 더욱 눈에 띄게 하려면 아이콘 모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생성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to$ 속성을 선택합니다.
- 바로 가기 탭에서 아이콘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 $\text{shell32.dll}$ 또는 $\text{imageres.dll}$ 파일 등에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 후 $\to$ 적용 $\to$ 확인을 누르면 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아이콘을 작업 표시줄에 고정해두면 마우스를 이용한 바탕화면 전환이 더욱 간편해집니다. 작업 표시줄에서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기만 하면 모든 창이 최소화됩니다.
총 글자수 (공백 제외): 2056자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윈도우 11, 창 활성화 초고속 마스터! 업무 효율 200% 올리는 쉽고 빠른 방법 대공개 (0) | 2025.10.26 |
|---|---|
| 윈도우 11 원격 접속, 전문가처럼 쉽고 빠르게 끝내는 완벽 가이드 (0) | 2025.10.25 |
| 🚀 3분 컷! 윈도우 11 디스크 관리, 초보자도 전문가처럼 쉽고 빠르게 끝내는 완벽 가 (0) | 2025.10.25 |
| "헉, 충전이 안돼!" HP 노트북 사용자라면 필독! 쉽고 빠른 해결 가이드로 배터리 고민 (0) | 2025.10.24 |
| "클릭 한 번으로 끝!" 인스타그램 링크, 가장 쉽고 빠르게 거는 완벽 가이드 (0) | 2025.10.23 |